콘텐츠 본문
- 홈페이지 https://lab.hanbat.ac.kr/komc
- 전화번호 042-821-1614
- 이메일 komc@hanbat.ac.kr
소개
한국외국어대학교 행정학과 졸업 후 미국 Virginia Tech(Blacksburg)에서 행정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현재 한밭대 공공행정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습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삶의 질을 중심으로 한 조직행태 및 공공관리이며, 다양한 조직 및 지역 환경에서 구성원들의 주관적 웰빙을 제고할 수 있는 내용은 무엇인가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Myeong Chul Ko received his PhD degree from the Virginia Tech. He is a professor at the department of public policy at Hanbat National University in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organization behavior, subjective wellbeing, and public management. His research has been published in international peer-reviewed journals such as Review of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Social Indicators Research, Applied Research in Quality of Life, Employee Relations, as well as various Korean academic journals.
학력
- 미국 Virginia Tech (Blacksburg, VA), 행정/정책학박사
-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 행정학석사
-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 행정학사
연구실적
- Ko, M. C. & Lee, J. (In press). Measuring the Psychological Benefits of Green Space Usag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Green Space Use Satisfaction Scale. 「Social Indicators Research」, doi.org/10.1007/s11205-025-03536-7
- Ko, M. C. (2024).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Family-Friendly Policies, Work-Life Balance, and Employee’ Subjective Wellbeing: Focusing on the Categorization of Family-Friendly Policies based on the Job Demands-Resources (JD-R) model. 「Review of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44(2): 377-409.
- 고명철. (2024). 조직사회자본, 직장생활의 질, 조직시민행동 간 구조적 영향관계 분석: 재직기간에 따른 다중집단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8(1): 49-75.
- 고명철. (2023). 직무자원, 공공봉사동기, 조직몰입, 그리고 삶의 질 인식 간 구조적 영향관계 분석: 직무요구-자원(JD-R) 모델의 동기부여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35(4): 809-836.
- 강병훈․김동훈․고명철․이정희. (2023).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Loyalty of Forest Trail Users.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26(5): 551-563.
- 고명철. (2022). 일과 삶 균형정책, 직장생활의 질, 그리고 주관적 안녕감 간 구조적 영향관계 분석: 직무요구-자원 모형에 근거한 일과 삶 균형정책의 범주화를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보」, 21(1): 71-105.
- 노환호․이태준․고명철. (2022). COVID-19 상황 인식이 백신 접종 의향에 미치는 영향: MZ세대가 갖는 정부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Crisisonomy」, 18(2): 69-86.
- Ko, M. C. & Jesse, C. (2021). Social capital, person-organization fit, and cynicism: A multi-stage mediation model of turnover intention in public organizations. 「Employee Relations」, 43(4): 936-954.
- Ko, M. C. (2021). An Examination of the Links between Organizational Social Capital and Employee Wellbeing: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Quality of Work Life. 「Review of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41(1):163-193.
- Lee, T. & Ko, M. C. (2021). The Effects of Citizen Knowledge on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 Communications on Nuclear Energy Policy in South Korea. 「Information」, 12(1): 8.
- 고명철․이아람. (2020). 정부신뢰 및 정치적 효능감이 시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공공서비스 이용경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34(4): 99-122.
- 이아람․고명철. (2020). 자살 행동에 대한 억제 요인 분석: 1959년∼1963년에 출생한 세대를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30(4): 63-84.
- Kim, D., Yeom, S., & Ko, M. C. (2020). The Interactive Effect of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and Firms’ Innovative Efforts on Company Growth: A Focus on Climate-Tech SMEs in Korea. 「Sustainability」, 12(22): 9666.
- 고명철. (2019). 조직사회자본이 혁신행동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직장생활의 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행정논총」, 57(4): 165-195.
- 고명철․이아람. (2019). 지방정부신뢰가 시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공동체의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31(3):149-174.
- 고명철․김정훈․이창율. (2019). 조직사회자본과 조직효과성 간 관계에 있어서의 조직신뢰와 조직후원인식의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한국행정연구」, 28(2): 187-224.
- 김정훈․이창율․고명철. (2018). 고용-복지 연계 서비스 네트워크 구조에 관한 연구: 남양주시 고용복지플러스센터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2(4): 81-111.
- 고명철. (2018). 공공서비스 만족도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정부신뢰에 의한 Community QoL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22(2): 119-146.
- 고명철. (2018). 공공기관의 협력적 노사관계 구축을 위한 실증 분석: 주요 선행요인과 조직효과성 간 협력적 노사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입법과 정책」, 10(2): 305-336.
- 고명철․김정훈. (2017). 협력적 노사관계와 조직사회자본, 조직효과성 간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1(4): 243-264.
- 고명철․고광용. (2017). 미국 지방정부의 공공서비스 만족도와 지역사회 삶의 질 간 상관성 분석 : Peterson의 정책유형론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9(2): 24-55.
- 고명철. (2017). 다의적 융합 개념의 이해를 통한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간 융합연구 촉진방안.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7(1): 959-968.
- 고명철․정재한. (2016). 공기업 종사자들의 업무성과에 대한 조직효과성 변인 간 상호작용효과 연구. 「한국인사행정학회보」, 15(3): 1-24.
- Ko, M. C. & Choi, S. O. (2015). The Effects of Community Quality of Life on Local Policy Decisions. 「Applied Research in Quality of Life」, 10(4): 667-687.
- 고명철․김다은. (2015). 인천 바이오 클러스터의 기업 유인(attraction) 및 유지(retention)에 관한 영향요인 분석: 기업 내부적 특성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24(1): 137-166.
- 고명철․유광민. (2014). 바이오산업 클러스터 입지 만족도 및 성장가능성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인천 바이오 기업을 대상으로. 「지방행정연구」, 28(2): 23-50.
- 고명철․정재한. (2014). 도시경관 형성을 위한 간판 규제방안으로서 간판세 적용 사례 분석: 해외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도시연구」, 15(2): 113-130.
- 김동원․고명철. (2013). 국회 지원기관 간 협력에 관한 탐색적 연구: 지원기관소속 공무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의정논총」, 8(2): 173-208.
- 정재한․고명철. (2013). 공기업에서의 리더십 유형과 조직효과성 간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행정논집」, 25(4): 1119-1144.
- 고명철. (2013). 공공서비스 만족도가 지역사회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미국 수폴스시의 경험적 증거를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보」, 20(2): 243-270.
- 고명철. (2013). 공공서비스 만족도, 정부성과, 그리고 삶의 질 간 영향관계 분석: 상향확산식 접근을 토대로. 「한국행정학보」, 47(2): 1-30.
- 김동원․고명철. (2013). 국회 위원회 공무원의 입법전문성 확보방안: 국회수석전문위원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5(1): 29-50.
- 고명철. (2013). 삶의 질과 공공관리적 요인들 간 구조적 관계 분석: 미국 도버시 시민들의 주관적 인식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17(1): 205-232.
- 고명철․최상옥. (2012). 삶의 질(QoL) 연구의 행정학적 함의와 제언. 「한국행정학보」, 46(4): 103-126.
학회활동
- 2024. 한국인사행정학회 연구위원회 위원장
- 2024.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보」 편집위원
- 2023.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공공기관평가제도연구 특별위원회 위원
- 2023-2024. 「한국정책학회보」 편집위원
- 2023. 한국정책학회 국제협력위원회 이사
- 2022-2023. 「한국조직학회보」 편집위원
- 2022-2023. 「한국행정논집」 편집위원회 편집위원
- 2021-2022. 한국NGO학회 연구윤리위원회 이사
- 2022.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연구위원회 이사
- 2022. 한국정책과학학회 운영이사
- 2021.-2022.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보」 편집위원
- 2021. 한국정책과학학회 총무위원회 위원
- 2019. 한국지방자치학회 운영이사
- 2018.-2019. 「한국조직학회보」편집위원
- 2018.-2019. 「한국정책학회보」 국문편집위원 이사
- 2017. 한국행정학회 운영이사
- 2017.-2018. 「한국정책과학학회보」 편집위원
- 2017. 한국국정관리학회 교육취업이사
- 2016. 한국행정학회 총무위원회 위원
- 2015. 한국행정학회 교육취업위원회 위원
위원회 활동
- 2024 - 국세청 공적심사위원회 위원
- 2024 - 공무원연금공단 적극행정위원회 외부위원
- 2023 - 기상청 청원심의회 위원
- 2023 - 병무청 적극행정위원회 민간위원
- 2022 대전광역시 의정비 심의위원회 위원
- 2019 - 2021 대전광역시 유성구 지방보조금 심의위원회 위원
- 2017 - 2019 통계청 소속책임운영기관 운영심의회 위원
- 2018 대전광역시 의정비 심의위원회 위원
- 2016 - 2018 국립해양측위정보원 정보공개심의회 위원
평가활동
- 2024 - 국무조정실 주요정책과제평가단 평가위원 (행정·안전분과)
- 2022 - 국무조정실 주요정책과제평가단 평가위원 (행정·보훈분과)
- 2021 - 기획재정부 공공기관 경영평가위원 (상임감사평가단)
- 국무조정실 일자리·국정과제평가단 평가위원 (외교·안보·통일분야) - 2020 - 기획재정부 공공기관 경영평가위원 (상임감사평가단)
- 경상북도 출자·출연기관 경영평가위원
- 국무조정실 '세종시 운영성과평가' 평가위원 - 2019 - 행정안전부 지방공기업 경영평가위원
- 국무조정실 '세종시 운영성과평가' 평가위원 - 2018 - 대전시 출자·출연기관 경영평가위원
- 2015 - 대전시 출자·출연기관 경영평가위원
출제위원활동
- 지방공무원시험 9급/7급 출제위원 (행정학)
- 국가공무원시험 9급/7급/5급 출제위원 (행정학, 지방자치론, 인사조직론, PSAT 등)
- 국가공무원시험 면접과제 출제ㆍ선정위원
- 2023. 경찰간부후보생 문제 출제ㆍ선정위원 (행정학)
- 2018. 2020. 2025. 소방간부후보생 문제 선정 및 검증위원 (행정학)
- 2018. 2019. 한국산업인력공단 NCS 출제ㆍ선정위원
- 2018. 행정사 자격증 출제 및 선정위원 (행정학)